불갑사의 꽃무릇
부산에서 새벽2시에 바람을 가르며 함평의 밀재로 달린다.
함평 뜰에 펼쳐지는 감동의 아침을 맞고 우리는
불갑사로 달린다.
붉은 융단을 깔아 놓은 듯 한 꽃무릇이 지천에 널려 있다.
꽃과 잎이 영원히 만날 수 없다는
슬픈 이야기를 간직한 꽃무릇
석산(石蒜) 꽃무릇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 들어왔으며 절에서 흔히 심고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비늘줄기는 넓은 타원 모양이고 지름이 2.5∼3.5 cm이며 겉껍질이 검은 색이다.
꽃은 9∼10월에 붉은 색으로 피고 잎이 없는 비늘줄기에서
나온 길이 30∼5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총포는 길이 2∼3cm의 줄 모양 또는 피침 모양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작은꽃자루는 길이가 6∼15mm이다. 화피 조각은 6개이고 거꾸로 세운 바소 모양이며
뒤로 말리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주름이 있다.
수술은 6개이며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를 맺지 못하고 꽃이 떨어진 다음 짙은 녹색의 잎이 나오는데,
이 잎은 길이가 30∼40cm이고 다음해 봄에 시든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인후 또는 편도선이 붓거나 림프절염·종기·악창에 효과가 있고,
복막염과 흉막염에 구토제로 사용하며 치루와 자궁탈수에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닦는다.
또한 비늘줄기는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여 독성이 있지만
이것을 제거하면 좋은 녹말을 얻을 수 있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꽃무릇은 별종이다. 이파리 하나 없는 민둥꽃대에 9월 말 붉은 꽃이 터지고,
그 꽃이 지고 나면 비로소 잎이 난다.
꽃과 잎이 함께 달리지 않는다(花葉不相見).이런 특이함 때문에 이름도 사연도 여럿이다.
먼저 석산(石蒜, 돌마늘). 꽃이나 잎 없이
꽃대만 있는 모습이 꼭 마늘쫑 같대서 붙은 이름이다.
상사화(相思花) 혹은 붉은상사화라고도 부른다.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하고 서로를 그리워한다 하여 그리 불린단다.
꽃무릇이 사찰 부근에 많은 건, 출가한 스님을 연모하다
상사병에 걸려 죽은 여인이 꽃으로 피어나기 때문이란 전설이 있다.
엄밀히 말해 상사화와 꽃무릇은 다르다.
같은 수선화과에 꽃과 잎이 함께 나지 않는다는 것만 같다.
색깔과 모양이 다르고 성장 시기도 다르다.
상사화는 우리나라가 원산. 봄에 난 잎이 여름에 지고 그 뒤 꽃이 핀다.
꽃 색깔은 붉은 빛이 감도는 연한 자주색. 줄기 하나에 4~8개가 달린다.
노랑꽃을 틔우는 개상사화(노랑상사화), 주황꽃을 틔우는 백양꽃(조선상사화)도 마찬가지다.
반면 꽃무릇은 일본이 원산지다. 상사화가 질 무렵 피고,
잎은 꽃이 진 뒤 돋아 봄에 시든다.
상사화·백양꽃에 비해 꽃잎보다 꽃술이 훨씬 길고 색깔도 더 붉다.
사찰 부근에 꽃무릇이 많은 것도 뿌리의 방부제 성분 때문이란 설명이 더 그럴 듯하다.
즙을 내 탱화나 단청 그릴 때 섞어 쓰면 좀이 슬지 않는단다.
[출처] 꽃무릇(석산)--- 꽃말 : 슬픈 추억|작성자 아지
;